티스토리 뷰
Svelte 개발 중 라우팅을 정리한 글
Routing
라우팅은 어떤 프론트 기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이니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한다.
스벨트키트 레퍼런스 라우팅 부분을 보면 따로 라이브러리 안 쓰고 동적 라우팅 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었다.
나는 이걸 스치듯이 보고 넘어가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걸로 해결하려 했는데 그럴 필요가 없었음
Routing • Docs • SvelteKit
Routing Edit this page on GitHub At the heart of SvelteKit is a filesystem-based router. The routes of your app — i.e. the URL paths that users can access — are defined by the directories in your codebase: src/routes is the root route src/routes/about
kit.svelte.dev
At the heart of SvelteKit is a filesystem-based router. The routes of your app — i.e. the URL paths that users can access — are defined by the directories in your codebase:
src/routes is the root route
src/routes/about creates an /about route
src/routes/blog/[slug] creates a route with a parameter, slug, that can be used to load data dynamically when a user requests a page like /blog/hello-world → 여기서 알려주고 있다
Static Routing
정적라우팅은 폴더 생성 후 그 아래 있는 파일명이나 폴더명으로 직접 처리하는 방법이다.
routes 폴더 하위에 sign-in/password-initialize로 세팅했다면 host/sign-in/password-initialize로 접근할 수 있다.
Dynamic Routing
동적라우팅은 별도의 생성없이 사용자가 입력한 경로를 처리해 주는 방법이다.
왼쪽 이미지에 따르면 host/this-is-path 라고 입력할 때 해당 경로로 접근할 수 있다.
'tech > 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R, SSR (0) | 2023.03.18 |
---|---|
Svelte 이해하기(2) (0) | 2023.03.18 |
Svelte 이해하기 (0) | 2023.03.18 |
ESLint, Prettier 차이점과 사용이유 (0) | 2023.03.18 |
최근에 올라온 글
TAG
- eslint
- Java17
- algorithm
- SSR
- mysql
- springboot
- spring boot3
- WebSocket
- Prettier
- 알고리즘
- Front
- CSR
- gradle
- routing
- mysql_secure_installation
- 이진탐색
- sveltekit
- 아키텍트
- maven
- sw아키텍처
- 8.0.32
- swagger3
- 프로그래머스
- swagger
- Kotlin
- svelte
- open api3
- binary search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