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진 탐색(Binary Search)
이진탐색 혹은 이분탐색이라고도 한다.이미 정렬되어 있는 자료구조에서 특정 값을 찾을 때, 탐색 범위를 절반씩 나누면서 해당 값을 찾는다.순차 탐색에 비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.시간복잡도전체 탐색: O(N)이진 탐색: O(logN)예시) 배열의 길이가 8인 경우 (n = 8):첫 번째 비교에서 배열을 절반으로 나눔 (4개 요소 남음)두 번째 비교에서 다시 절반으로 나눔 (2개 요소 남음)세 번째 비교에서 또 절반으로 나눔 (1개 요소 남음)따라서, 총 3번의 비교가 필요함. ( log2(8)=3 )처리순서정렬이 되어 있거나 정렬을 함left, right로 mid값을 결정mid와 구하고자 하는 값(target)을 비교구할 값이 mid보다 큰 경우, left = mid + 1구할 값이 mid보다 낮은..
tech/Algorithm
2024. 7. 7. 16:39
최근에 올라온 글
TAG
- mysql
- 프로그래머스
- maven
- open api3
- sw아키텍처
- routing
- algorithm
- Java17
- Front
- WebSocket
- SSR
- sveltekit
- CSR
- 알고리즘
- 이진탐색
- swagger3
- mysql_secure_installation
- eslint
- svelte
- swagger
- Prettier
- 아키텍트
- 8.0.32
- gradle
- springboot
- binary search
- spring boot3
- Kotli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